계절별 차량 정비 가이드: 안전 운행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이야기

계절별 차량 정비 가이드: 안전 운행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by InsightMan 2025. 1. 28.

자동차 오너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계절별 차량 정비 항목과 셀프 정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세요.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에 맞는 필수 정비 항목부터 간단한 자가 정비 팁까지, 안전 운행을 위한 모든 것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차량 관리 비용도 절약하고, 안전 운전 습관을 길러보세요.

목차

 

1. 봄철 차량 정비: 겨울을 보낸 후 점검할 것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고 따뜻한 봄바람이 불어오면, 차량도 새 계절에 맞는 정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겨울철 눈길 주행과 염화칼슘 노출은 차량 하부에 손상을 입혔을 가능성이 크므로, 꼼꼼한 점검이 중요합니다.

1.1 하부 세차 및 부식 확인

  • 겨울철 도로의 제설 작업에 사용되는 염화칼슘은: 차량 하부에 부식을 유발하는 주범입니다.
  • 봄철 가장 먼저: 고압 세차를 통해 하부에 묻은 염화칼슘과 이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 세차 후에는: 차량 하부의 부식 여부를 면밀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방청 작업을 통해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해야 합니다.

1.2 타이어 점검

넥센타이어 엔프리즈 AH8 245/45R18, 4개, 출장장착

  • 겨울용 타이어를 사용했다면: 일반 타이어로 교체해야 할 시기입니다.
  • 사계절용 타이어를 사용 중이라도: 마모도와 공기압을 점검해야 합니다.
  • 타이어 마모 한계선(타이어 홈 안쪽의 돌출된 부분)에: 근접했다면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 공기압은: 차량 제조사가 권장하는 적정 수준(일반적으로 30~35psi)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와이퍼 블레이드워셔액 점검

  • 겨울철 얼음과 눈으로 인해 손상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봄철 잦은 비에 대비하여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워셔액은: 앞 유리의 시야 확보를 위해 충분히 보충해 두어야 합니다.
  • 와이퍼 작동 시: 줄이 생기거나 소음이 발생한다면, 블레이드 고무의 마모나 손상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1.4 에어컨 필터 교체

  • 에어컨 필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 겨울철 히터 사용으로 인해: 먼지가 쌓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봄철 에어컨 사용 전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컨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지 않으면: 실내 공기 오염 및 에어컨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2. 여름철 차량 정비: 폭염 대비

무더운 여름철에는 차량도 더위에 지치기 쉽습니다. 특히 엔진 과열, 타이어 펑크 등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1 냉각수 점검

  • 냉각수는: 엔진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 여름철에는: 엔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 양과 상태를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 냉각수 보조 탱크의: 냉각수 양이 LOW와 FULL 사이에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하면 보충해야 합니다.
  •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오염된 상태로 운행하면 엔진 과열로 이어져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2 타이어 공기압 및 상태 점검

  • 여름철 뜨거운 아스팔트 위를 주행하면: 타이어 내부 공기가 팽창하여 펑크 위험이 높아집니다.
  •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 수준(일반적으로 30~35psi)으로 유지하고, 마모나 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특히 장거리 운전 전에는: 반드시 타이어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2.3 에어컨 점검

  • 여름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해: 에어컨 점검은 필수입니다.
  • 에어컨 작동 시: 찬 바람이 약하거나 냄새가 난다면, 에어컨 필터 교체 및 냉매 점검이 필요합니다.
  • 냉매는: 에어컨의 냉방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므로, 부족하면 전문 정비소에서 충전해야 합니다.

2.4 배터리 점검

  •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 등으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많아집니다.
  • 배터리 단자: 부식 여부와 충전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교체해야 합니다.
  • 배터리 수명은: 일반적으로 3~5년 정도이며, 수명이 다한 배터리는 시동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가을철 차량 정비: 다가오는 겨울 준비

선선한 가을은 겨울을 대비하여 차량을 정비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특히, 기온 변화에 따른 차량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세심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3.1 부동액 점검

  • 부동액은: 겨울철 냉각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엔진 및 라디에이터의 부식을 막아줍니다.
  • 부동액과 물의 비율을: 5:5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역의 최저 기온에 따라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부동액은: 2년 또는 4만km 주행 시 교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3.2 히터 및 열선 점검

  • 겨울철 따뜻한 실내 환경을 위해: 히터와 열선(뒷유리, 사이드미러, 시트 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히터 바람이: 약하거나 미지근하다면, 냉각수, 서모스탯(냉각수 온도 조절 장치) 등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열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퓨즈나 배선 쪽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3.3 배터리 점검(출장 배터리 교체 알아보기)

  •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됩니다.
  • 가을철에: 미리 배터리 충전 상태와 단자 부식 여부를 점검하여 겨울철 시동 불량 등의 문제를 예방해야 합니다.
  • 배터리 수명이: 3년 이상 되었다면, 교체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3.4 타이어 점검

  • 겨울철 눈길 및 빙판길 안전 운행을 위해: 타이어 상태 점검은 필수입니다.
  • 겨울용 타이어 사용을: 고려하거나, 사계절용 타이어의 마모도와 공기압을 점검해야 합니다.
  • 특히, 첫눈이 내리기 전에: 타이어 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4. 겨울철 차량 정비: 혹한기 생존 전략

혹한의 추위는 차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겨울철 안전 운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4.1 겨울용 타이어 장착

  • 겨울용 타이어는: 눈길 및 빙판길에서 제동력과 접지력이 우수하여 안전 운행에 필수적입니다.
  • 겨울용 타이어는: 영상 7도 이하에서 일반 타이어보다 성능이 뛰어나므로, 기온이 떨어지기 전에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겨울용 타이어 장착 시: 네 바퀴 모두 교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4.2 부동액 점검

  • 겨울철에는: 부동액이 얼지 않도록 농도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동액과 물의 비율을: 지역의 최저 기온에 맞춰 조절하고, 2년 또는 4만km 주행 시 교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부동액이: 얼 경우, 엔진 및 라디에이터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4.3 배터리 점검

  • 낮은 기온에서는: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어 시동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단자: 부식 여부와 충전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교체해야 합니다.
  • 겨울철 장시간 주차 시에는: 블랙박스 등의 전자기기 사용을 최소화하여 배터리 방전을 예방해야 합니다.

4.4 와이퍼 및 워셔액 점검

  • 겨울철 눈과 얼음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와이퍼와 워셔액 점검은 필수입니다.
  • 와이퍼 블레이드가: 얼음이나 눈으로 손상되었다면 교체하고, 워셔액은 겨울용으로 보충해야 합니다.
  • 워셔액이: 얼 경우, 분사가 되지 않아 시야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5. 일반인이 할 수 있는 셀프 차량 정비

차량 정비는 전문 정비소에 맡기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간단한 점검은 직접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량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정비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5.1 타이어 공기압 확인 및 보충

  • 준비물: 에어 컴프레셔, 공기압 게이지
  • 방법:
    1. 차량 문 안쪽 또는 사용 설명서에서 적정 공기압을 확인합니다.
    2. 타이어 밸브 캡을 열고 공기압 게이지로 공기압을 측정합니다.
    3. 적정 공기압보다 낮으면 에어 컴프레셔를 사용하여 공기를 보충합니다.
    4. 공기압을 다시 측정하여 적정 수준인지 확인하고 밸브 캡을 닫습니다.

5.2 워셔액 보충

  • 준비물: 워셔액
  • 방법:
    1. 보닛을 열고 워셔액 탱크 뚜껑을 찾습니다. (일반적으로 파란색 뚜껑에 앞유리 와이퍼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2. 워셔액 탱크 뚜껑을 열고 워셔액을 보충합니다.
    3. 워셔액 탱크 뚜껑을 닫습니다.

5.3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 준비물: 새 와이퍼 블레이드
  • 방법:
    1. 와이퍼 암을 들어 올립니다.
    2. 와이퍼 블레이드 연결 부위의 고정 클립을 누르거나 젖혀서 기존 블레이드를 분리합니다.
    3. 새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 부위에 끼우고 고정 클립을 닫습니다.
    4. 와이퍼 암을 내립니다.

5.4 에어컨/히터 필터 교체

  • 준비물: 새 에어컨/히터 필터
  • 방법:
    1. 조수석 글로브 박스를 엽니다.
    2. 글로브 박스 양쪽의 고정 핀을 분리하여 글로브 박스를 완전히 내립니다.
    3. 필터 커버를 분리하고 기존 필터를 꺼냅니다.
    4. 새 필터를 장착하고 필터 커버를 닫습니다.
    5. 글로브 박스를 다시 조립합니다.

5.5 등화장치 점검

  • 대상 등화장치: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안개등 등
  • 방법:
    1.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차량 외부에서 각 등화장치의 점등 여부를 확인합니다.
    2. 운전석에서 각 등화장치를 작동시키면서, 다른 사람이 점등 여부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3. 점등되지 않는 전구는 교체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