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은 무엇이고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의 개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쉬운 예시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의 개념
실질 소득
실질 소득이란 물가 변동을 고려하여 계산한 실제 구매력을 의미합니다. 즉, 동일한 수입이라도 물가가 오르면 실질 소득은 줄어들고, 물가가 내리면 실질 소득은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10만 원으로 10개의 사과를 살 수 있었다면 10만 원의 실질 소득은 10개의 사과와 같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오르면서 사과 하나의 가격이 1만 5천 원이 되었다면, 10만 원으로는 6개밖에 살 수 없게 됩니다. 이때 10만 원의 실질 소득은 6개의 사과와 같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실질 소득이 감소한 것입니다. 실질 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질 소득 = 명목 소득 / 물가 지수 여기서 물가 지수란 일정 기간 동안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물가 지수로는 소비자 물가 지수(CPI)와 생산자 물가 지수(PPI)가 있습니다. CPI는 일반 가정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반영하고, PPI는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반영합니다.
명목 소득
명목 소득이란 물가 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수입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동일한 수입이라도 물가에 따라 실제 구매력이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0만 원으로 10개의 사과를 살 수 있었다면 10만 원의 명목 소득은 그대로 10만 원입니다. 하지만 물가가 오르면서 사과 하나의 가격이 1만 5천 원이 되었다면, 10만 원으로는 6개밖에 살 수 없게 됩니다.
그런데도 10만 원의 명목 소득은 여전히 10만 원입니다. 따라서 명목 소득은 물가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명목 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명목 소득 = 실질 소득 x 물가 지수 여기서 물가 지수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의 쉬운 예시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가정하자면, 2020년에 A 씨의 월급은 300만 원이고, 2021년에는 330만 원으로 인상되었다고 합시다. 그리고 2020년의 물가 지수는 100이고, 2021년의 물가 지수는 110이라고 가정합시다. 이때 A씨의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은 어떻게 될까요?
먼저 명목 소득은 간단합니다.
2020년에는 300만 원이고, 2021년에는 330만 원이므로, 명목 소득은 10% 증가한 것입니다.
그런데 실질 소득은 어떻게 될까요?
실질 소득은 물가 변동을 고려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20년의 실질 소득 = 300만 원 / 100 = 30만 원 2021년의 실질 소득 = 330만 원 / 110 = 30만 원 즉, A씨의 실질 소득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수입은 증가했지만, 물가도 증가했기 때문에 실제 구매력은 그대로인 것입니다. 따라서 A 씨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월급 인상의 효과를 받지 못한 것입니다.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의 정리
이상으로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실질 소득은 물가 변동을 고려한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 명목 소득은 물가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수입을 나타내는 것이다.
- 실질 소득 = 명목 소득 / 물가 지수
- 명목 소득 = 실질 소득 x 물가 지수
- 물가 상승 시 실질 소득은 감소하고, 물가 하락 시 실질 소득은 증가한다.
'돈버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종류 및 수익률 비교 : 부동산, 주식, 미술품, 인프라 투자 (0) | 2023.05.04 |
---|---|
민사 소송 : 절차, 신청 방법, 비용, 소송기간 (0) | 2023.05.03 |
연말정산 : 소득공제 총정리 (0) | 2023.05.03 |
연말정산 : 인적공제 총 정리 (0) | 2023.05.03 |
법률 설명 : 부동산 거래신고, 거래명세서 작성, 중개업자, 등기법, 예시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