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어린 시절부터 국회 입성 후 이야기까지 확인하고 그의 선택이 한국 정치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겠습니다. 향후 정치 복귀 가능성에 대해 각자 판단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1. 유시민의 어린 시절과 가족 배경 : 출생과 가족 배경
1959년 7월 28일, 경상북도 월성 군 내남면 망성리 163번지에서 태어난 유시민은 아버지 유태우와 어머니 서동필 사이의 다섯째이자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교사였고 어머니는 슈퍼마켓과 비슷한 소규모 가게를 운영하는 평범한 집안에서 자랐습니다.
1.1 어린 시절의 생활과 경험
유시민은 자신의 저서 《나의 한국 현대사》에서 어린 시절을 회고합니다. 그는 가정에서는 밥을 충분히 먹었지만, 학교에서는 가난한 친구들이 탈지분유와 옥수수죽을 받아먹는 모습을 보며 가난에 대한 고민을 했다고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자신을 프티부르주아 리버럴(자유주의적 소시민계급) 태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1.2 아버지의 영향과 교육 환경
교사였던 아버지는 어릴 적부터 유시민에게 각종 어린이 신문을 구독하게 했으며, 식사 시간에는 역사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주제를 정해 자식들과 진지한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유시민은 어릴 때부터 사회, 역사, 정치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를 쌓게 되었습니다.
2. 대학 시절의 사상 변화
대학에 입학한 유시민은 농촌법학회에 가입하였습니다. 그는 신입생 환영회에서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변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여 선배들을 당혹시켰습니다. 이는 당시 운동권의 주류 사상이 카를 마르크스의 사상이었기 때문인데, 유시민의 발언은 마르크스의 역사 발전론에 반하는 주장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유시민의 토론 실력이 발군이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습니다.
2.1 유신헌법에 대한 반감과 전공 선택
유신헌법하 긴급조치 위반으로 선배들이 처벌받는 것을 보고, 유시민은 유신헌법을 공부하고 시험을 치르며 박정희 정권 아래 판검사로 일하는 것을 거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할 때, 원래 지망했던 법학과가 아닌 경제학과를 선택하게 됩니다.
2.2 공업단지 노동자 야학 참여와 인연
유시민은 이후 공업단지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야학에 활발히 참여합니다. 야학에 그를 이끌어 준 사람은 서울대 총학생회장 심재철이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당시 서울대 복학생협의회 회장이자 운동권 선배였던 이해찬과도 인연을 맺게 됩니다. 처음 만남은 서로의 선후배 사이의 경쟁이었지만, 이후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인연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인물 간 인연의 발전 처음 만남은 서로의 선후배 사이의 경쟁이었지만, 이후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인연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유시민은 이러한 인연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며 그의 사상과 활동에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3. 대학 시절의 활동과 성장
대학 시절 유시민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의 사상과 인식이 발전되었습니다. 학문적으로 경제학과를 선택하며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였고, 운동권에서의 활동과 야학 참여를 통해 사회적 의식을 길렀습니다. 또한 다양한 인물들과의 인연을 통해 그의 인간성이 성장하였습니다.
4. 정계 입문과 보좌관 시절
유시민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이해찬 의원의 보좌관으로 처음 정계에 입문했습니다. 이때는 공식 보좌관이 아니라 다른 보좌관의 급여를 나눠 썼습니다. 이해찬 의원과의 인연은 대학생 시절부터 시작되었으며, 처음 만남은 멱살잡이 싸움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두 사람은 화해하여 서로에게 큰 영향을 주고받는 인연이 되었습니다.
4.1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인연
보좌관으로 일하던 시절, 유시민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인연을 맺게 됩니다. 두 사람은 국회 노동위원회에서 함께 일하게 되었으며, 유시민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통령감을 한눈에 알아보았다고 합니다.
4.2 김대중 총재와의 관계
유시민은 김대중 총재의 상인적 현실감각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어 비판적으로 대하였습니다. 그러나 설훈이 김대중 총재 비서관 제안을 받았지만, 유시민은 이를 거절하였습니다. 유시민은 평민당에서 일시적으로 보좌관 업무를 수행하다 탈당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5. 정치 경험과 성장
유시민은 정치 경험을 통해 성장하였습니다. 보좌관 시절부터 다양한 인물들과의 인연을 맺으며 그의 사상과 활동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후에 노무현재단 이사장 자리를 수락하게 되었습니다.
6. MBC
2000년 1월부터 10월까지 유시민은 MBC 라디오 'MBC 초대석' 진행자로 활동했으며 2000년 6월부터 2002년 1월까지 MBC '100분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진행자로서 중립성을 지키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7. 개혁국민정당 창당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후보가 악재들로 인해 지지율이 급락했습니다. 유시민은 노무현 후보를 돕기 위해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의 사퇴를 종용하였고, 이로 인해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노무현 후보를 구하기 위해 유시민은 새천년민주당을 비난하고, 2002년 8월 정치인으로 전향했습니다.
그 후 유시민은 노무현을 중심으로 한 신당 창당을 선언했고, 11월 개혁국민정당이 창당되어 당대표가 되었습니다. 노무현 후보는 최종적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이 신당 창당은 노무현 후보가 유시민에게 부탁한 결과였다고 나중에 밝혀졌습니다.
8. 유시민의 보궐선거 출마와 국회 입성 이야기
2003년 4월, 16대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치러졌습니다. 고양 덕양 갑 지역구에서 개혁국민정당(개혁당) 후보로 출마한 유시민은 새천년민주당(민주당)과 단일화나 공조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로 인해 개혁당원들로부터 열렬한 찬사를 받았습니다.
8.1 후보 단일화 논란과 선거 출마
그러나 선거가 시작되자 유시민은 말을 바꾸어 민주당 측과 후보 단일화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개혁당 내부에서 극심한 반발이 일어났고, 당이 분열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외부에서도 비판이 이어졌는데, 진보 언론인 오마이뉴스까지 유시민의 말 바꾸기를 비판했습니다. 결국 유시민은 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여의도에 입성하게 되었습니다.
8.2 국회의원 선서와 첫날 복장 논란
국회의원 선서를 하는 첫날, 유시민은 백바지에 라운드 티셔츠로 참석하여 전대미문의 복장으로 눈길을 끌었습니다. 당시 한나라당은 물론 민주당계 의원들 역시 경악을 금치 못할 정도로 충격적인 일이었습니다. 해당 복장을 받아들이지 못한 의원들이 대거 퇴장해 선서가 이튿날로 미뤄지는 참사가 벌어졌습니다. 지금의 시대와는 달리 당시에는 외견상의 엄숙주의가 정치를 지배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결국 그는 일반적인 복장으로 선서를 치렀습니다
9. 정계은퇴와 그 이후의 이야기
9.1 통합진보당 탈당파와 정의당 결성
유시민은 통합진보당 탈당파로 함께 진보정의당(현 정의당)을 결성하였습니다. 이 당 결성은 한국 정치의 진보 세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9.2 유시민의 정계은퇴 선언
2013년 2월 19일, 유시민은 정계를 은퇴한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당을 탈당하지 않고 평당원으로 남았습니다.
9.3 정계 복귀 가능성에 대한 의견
유시민의 정계 복귀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주기적으로 제기되지만, 유시민은 '정계를 떠난 지금의 삶이 더 행복하다'라며 단호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유시민 역시 정치인으로서 여러 차례 말을 바꾼 전례가 있어, 정계 복귀 및 대선 출마 가능성이 정계 주변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9.4 정의당 탈당 결정
2018년, 유시민은 정치에서 한 걸음 더 물러나고 싶다는 이유로 정의당을 탈당하였습니다. 이 결정은 정치계에 다양한 해석을 낳았습니다.
10. 마치며
정치 인생에는 여러 가지 변화와 결단이 있었으며, 그의 선택이 현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망하였습니다. 유시민의 정계 복귀 가능성에 대한 논쟁은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지만, 그는 자신의 삶이 더 행복해졌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계에서 물러선 것을 확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그의 행보와 선택에 대해 지켜보며, 한국 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흥민 어린 시절부터 함부르크, 토트넘의 시즌 별 연봉정리 (0) | 2023.04.15 |
---|---|
추신수, 한국 야구의 전설 : 어린 시절부터 역대급 연봉 (0) | 2023.04.15 |
전두환 : 대한민국 국사에 남을 독재자의 삶 (0) | 2023.04.14 |
현대그룹의 창업주 정주영 회장, 그의 인생과 기업가정신 (0) | 2023.04.14 |
워런버핏, 투자의 신이 되기까지 커리어, 투자관, 평가 (2) | 2023.04.12 |
댓글